종합심리평가, 인지기능검사, 지능검사, 영재판별 검사, 진로적성검사, 성격검사, 적응행동검사, 부모양육태도검사
임상 수련을 받은 한국심리학회 공인 최상위 자격 소지자가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검사 및 결과보고서 작성을 합니다.
해석 상담도 평가자가 직접 진행합니다.
종합심리평가의 경우 3~4시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며 이후 1~2시간 정도의 채점과 해석 과정이 이루어지고 임상적 판단을 고려하여 3시간 정도의 평가 보고서 작성과정을 거칩니다.
1. 시지각-운동 협응검사(BGT-2, VMI-6)
2. 웩슬러 지능검사(K-WISC-V, K-WPPSI-IV)
3. 주의력, 집행기능 검사(CAT, CCTT, STROOP, RCFT)
4. 기질 및 성격검사(TCI, JTCI)
5. 인성검사(MMPI-A, KPRC)
6. 발달검사(ADOS-2, 덴버발달검사)
7. 투사적 정서검사(HTP, KFD, SCT, TAT(CAT), Rorschach)
8. 언어능력검사(수용어휘, 표현어휘, 한국어읽기능력검사)
9. 적응행동검사(K-vineland-2, CBCL)
10. 놀이관찰평가, 모아상호작용평가
* 종합심리평가(full-battery)
* 인지학습심리평가(인지정서지능 종합검사)
* 웩슬러 지능검사
성공적인 학습 성취를 위한 기초 인지 기능과 학습의 지속력을 유지시켜주는 정서지능 및 인내력을 평가하여 학습 잠재력을 측정하고, 학습 부진의 원인을 찾아 학습 잠재력을 향상을 도모하는 과정
1. 주의 및 집행기능
2. 언어이해 능력
3. 작업기억, 장기기억 능력
4. 초인지기술
5. 정서지능(낙관성, 마인드셋, 그릿)
6. 사회적응 및 행동
긍정심리학적 심리평가는 기존의 임상적 진단 방법으로 인해 생기는 문제점을 개선하고 낙인 효과를 예방하기 위해 고안된 평가 방법
아동청소년의 강점에 기반한 검사를 통해 인지적, 비인지적 영역의 잠재력을 발견하고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의 검사를 진행합니다.
경계선 지능 아동을 판별하기 위한 검사
(지능검사+BIF선별척도+VMI-6)